맨위로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국가들의 예선 과정을 다룬다. 예선은 5개의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1차 예선은 하위 시드 팀들의 플레이오프, 2차 예선은 1차 예선 통과팀과 상위 시드팀을 제외한 팀들의 플레이오프, 3차 예선은 조별 예선, 최종 예선은 조별 예선,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구성되었다. 최종 예선에서 이란, 대한민국, 호주, 일본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요르단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으며, 이라크, 요르단, 대한민국 등을 포함한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2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진행된 대회로,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를 치러 각 조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 팀을 가렸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기간2011년 6월 29일 - 2013년 11월 20일
참가 팀 수43
축구 연맹1
경기 수148
득점 수432
관중 수3579388
최다 득점자신지 오카자키(7골)
이전 대회2010
다음 대회2018

2. 예선 방식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총 5개의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배정된 월드컵 본선 출전권은 4.5장으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했다.


  • 1차 예선: FIFA 랭킹 하위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8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2차 예선: 1차 예선 통과 8개 팀과 FIFA 랭킹 상위 5개 팀을 제외한 22개 팀, 총 3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5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 3차 예선: 2차 예선 통과 15개 팀과 FIFA 랭킹 상위 5개 팀, 총 20개 팀이 4팀씩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4차 예선): 3차 예선 통과 10개 팀이 5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5차 예선)에 진출했다.
  • AFC 플레이오프 (5차 예선): 최종 예선 각 조 3위 팀끼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본선 조 추첨은 2011년 7월 30일 브라질에서 진행되었다.[2] 초기에는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려 했으나, FIFA의 요청으로 2011년 중반 이후에 예선이 시작될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5] 최종 예선 방식은 2010년 방식과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2011년 3월에 확정되었다. 예선은 1, 2차 예선(홈 앤드 어웨이 방식)을 통해 본선 진출 팀 수를 20개로 줄였다. 이후 3차 예선(4팀 5개 조)을 거쳐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5팀 2개 조)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 각 조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대륙간 플레이오프 상대는 추첨을 통해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으로 결정되었다.[7]

단계진행 방식참가 대상진출 기준팀 수합계(다음 예선참가팀 포함)
1차 예선플레이오프최하위 시드 16개 팀
(28번~43번 시드)
플레이오프 승자16 → 843 → 35(2차, 3차예선 자동진출팀 포함)
2차 예선플레이오프1차 예선 통과 8개 팀, 최상위 시드 5개 팀을
제외한 나머지 22개 팀
플레이오프 승자30 → 1535 → 20(3차예선 자동진출팀 포함)
3차 예선조별 예선
(4팀×5조)
2차 예선 통과 15개 팀, 최상위 시드 5개 팀각 조 1위~2위 팀20 → 10왼쪽과 동일함
최종 예선조별 예선
(5팀×2조)
3차 예선 통과 10개 팀 전체각 조 3위 팀
(각 조 1위~2위 팀은 본선 직행)
10 → 4(직행) / 2(플레이오프)왼쪽과 동일함(각 조 1~2위 4개 팀은 본선 직행, 각 조 3위 2개 팀은 AFC 플레이오프 진출)
AFC 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각 조 최종 예선 3위 팀플레이오프 승자2 → 1왼쪽과 동일함(AFC 플레이오프 승자는 남미 예선 5위 팀과 홈 앤드 어웨이로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실시, 승리할 경우 본선 진출 1 → 0.5)


2. 1. 1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차 예선은 FIFA 랭킹이 낮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단계이다.[12][13]

조 추첨은 2011년 3월 3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12][13] 경기는 2011년 6월 29일(1차전)과 7월 2일 및 3일(2차전)에 열렸다.

1차 예선에서 승리한 8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Malaysia|말레이시아ms4–4 (a)中華民國|중화 타이베이중국어2–13–2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3–0پاکستان|파키스탄ur3–00–0
កម្ពុជា|캄보디아km6–8ປະເທດລາວ|라오스lo4–22–6 (연장전)
ශ්‍රී ලංකාව|스리랑카si1–5Pilipinas|필리핀tl1–10–4
ا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fa1–3فلسطين|팔레스타인ar0–21–1
Việt Nam|베트남vi13–1澳門|마카오중국어6–07–1
नेपाल|네팔ne7–1Timor-Leste|동티모르pt2–15–0
Монгол|몽골mn1–2မြန်မာ|미얀마my1–00–2


2. 2. 2차 예선

2차 예선은 1차 예선에서 승리한 8개 팀과 FIFA 랭킹 6위부터 27위까지의 2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승자는 3차 예선에 진출했다.[28] 출전 쿼터는 4.5개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2. 3. 3차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시드 순위 1위부터 5위까지의 팀(총 20개 팀)을 4팀씩 5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4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3차 예선 경기는 2011년 9월 2일, 9월 6일, 10월 11일, 11월 11일, 11월 15일2012년 2월 29일에 실시되었다.

2. 4. 최종 예선 (4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4차 예선은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는 단계이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5차 예선(플레이오프)으로 진출한다.

4차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20] 2012년 3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21] 10개 팀은 5개의 포트로 나뉘어 각 조에 한 팀씩 배정되었다.[24]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포트 5



최종 예선 결과, 일본, 대한민국, 호주, 이란이 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 5.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5차 예선)

4차 예선 각 조 3위 팀은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경기는 2013년9월 6일9월 10일에 열렸다.[26]

두 팀이 2차전 정규 시간까지 동점을 기록하면서, 요르단이 승부차기에서 9-8로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 팀 중 43개 팀이 참가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성적을 바탕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다.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던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AFC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했던 바레인은 최상위 시드로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

2차 예선까지는 이 시드가 활용되었으며, 3차 예선부터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를 새로 배정하여 대진 추첨을 하였다. 4차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으며, 2012년 3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았다.[20][21]

브루나이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시드 순위 배정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자격 정지 처분이 해제된 뒤에 참가 신청을 했지만 기간이 지나 불참 처리되었다.[9] 부탄은 참가를 거부했다.[11]

3. 1. 3차 예선 자동 진출 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성적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 AFC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바레인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29][30]

3. 2. 2차 예선 자동 진출 팀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 국가 중 43개 팀이 참가했다. 2차 예선 자동 진출팀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다.

다음은 2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팀들의 목록이다.


  • 브루나이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참가가 불허되었다.[9]
  • 부탄은 201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지 않았다.[11]

3. 3. 1차 예선 참가 팀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국 중 43개국이 참가했다. 1차 예선 참가 팀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28위부터 43위까지의 팀들이 1차 예선에 참가했다.[8]

1차 예선 참가 팀 (28~43위)



브루나이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참가가 불가능했다.[9] 부탄은 201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지 않았다.[11]

4. 1차 예선 결과

2011년 3월 30일 쿠알라룸푸르에서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2011년 6월 29일7월 3일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1차 예선은 아시아 지역에서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 예선에서 승리한 팀은 2라운드에 진출했다.[4]

1차 예선에 참가한 팀들은 FIFA 랭킹에 따라 두 개의 포트로 나뉘어 시드 배정을 받았다. 포트 1에는 랭킹 28~35위 팀이, 포트 2에는 랭킹 36~43위 팀이 배정되었다.[4]

포트 1포트 2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1차 예선 경기 결과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4-4 (a)2-12-3
3-03-00-0
6-84-22-6 (연장전)
1-51-10-4
1-30-21-1
13-16-07-1
7-12-15-0
1-21-00-2


5. 2차 예선 결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을 통과한 8개 팀과 FIFA 랭킹 6위부터 27위까지의 22개 팀, 총 3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15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2011년 7월 23일7월 28일에 실시되었다.[36]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3-2فلسطين|팔레스타인ar1-02-2
لبنان|레바논ar4-2বাংলাদেশ|방글라데시bn4-00-2
中国|중국중국어13-3ປະເທດລາວ|라오스lo7-26-1
Türkmenistan|투르크메니스탄tk4-5Indonesia|인도네시아id1-13-4
الكويت|쿠웨이트ar5-1Pilipinas|필리핀tl3-02-1
عمان|오만ar5-0မြန်မာ|미얀마my3-012-01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8-0香港|홍콩중국어3-05-0
ایران|이란fa5-0ދިވެހިރާއްޖެ|몰디브디베히어4-01-0
سوريا|시리아ar6-1
(0-6)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2-1
(0-3)2
4-0
(0-3)2
قطر|카타르ar4-2Việt Nam|베트남vi3-01-2
العراق|이라크ar2-0اليمن|예멘ar2-00-0
新加坡|싱가포르중국어6-4Malaysia|말레이시아ms5-31-1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7-0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4-03-0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5-2भारत|인도hi3-02-2
الأردن|요르단ar10-1नेपाल|네팔ne9-01-1



1 오만과 미얀마의 1차전 경기는 오만의 2-0 승리로 끝났으나 나중에 오만의 3-0 승리로 정정되었으며, 2차전 경기는 전반 39분 오만이 2번째 골을 넣자 발생한 홈팀 미얀마 관중의 난동으로 인해 경기 재개가 어렵다고 판단한 주심과 감독관의 결정에 따라 오만의 2-0 승리로 처리되었다.2 시리아는 타지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드러나 모든 경기가 0-3 몰수패로 처리되었으며 시리아의 자리는 타지키스탄으로 대체되었다.


6. 3차 예선 결과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순위A조B조C조D조E조
1위
2위
3위
4위



각 조 1, 2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2011년 9월 2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6. 1. A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이라크6501144+1015
요르단6402117+412
중국6303106+49
싱가포르6006220-180



 --------
이라크0-21-07-1
요르단1-32-12-0
중국0-13-12-1
싱가포르0-20-30-4

6. 2. B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대한민국6411144+1013
레바논63121011-110
쿠웨이트622289-18
아랍에미리트6105917-83




6. 3. C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C조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일본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타지키스탄은 탈락하였다.

순위C조
1위
2위
3위
4위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651081+716
6312143+1110
align="left"|621334-17
align="left"|6015118-171



 width="30"|width="30"|width="30"|width="30"|
style="text-align:right;"|1-11-03-0
style="text-align:right;"|0-11-08-0
style="text-align:right;"|0-11-01-1
style="text-align:right;"|0-10-41-1


6. 4. D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D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오만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태국은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오스트레일리아6501135+815
오만622236-38
사우디아라비아613267-16
태국611448-44



 --------
오스트레일리아3-04-22-1
오만1-00-02-0
사우디아라비아1-30-03-0
태국0-13-00-0


6. 5. E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E조에서는 이란카타르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바레인인도네시아는 각각 3, 4위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이란6330175+1212
2카타르6240105+510
3바레인6231137+69
4인도네시아6006326-230



 width="30"|width="30"|width="30"|width="30"|
이란2-26-03-0
카타르1-10-04-0
바레인1-10-010-0
인도네시아1-42-30-2


7. 최종 예선 (4차 예선) 결과

4라운드는 3라운드에서 각 조 1위와 2위로 올라온 팀들이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5라운드(플레이오프)로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최종 예선 결과 일본, 대한민국, 호주, 이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7]

경기는 2012년 6월 3일부터 2013년 6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7]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일정이 겹치면서, AFC는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일본의 경기 일정을 조정하여 2013년 6월 18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도록 조별 5위에 배치하였다.[25]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에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37]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최종 예선 조 편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width="60"|A조B조
슬롯 1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슬롯 2이란이라크
슬롯 3우즈베키스탄요르단
슬롯 4카타르오만
슬롯 5레바논일본


7. 1. A조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

|-

|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이란851282+616
대한민국8422137+614
우즈베키스탄8422116+514
카타르8215513-87
레바논8125312-95



|

 ----------
이란1-00-10-04-0
대한민국0-11-02-13-0
우즈베키스탄0-12-25-11-0
카타르0-11-40-11-0
레바논1-01-11-10-1



|}

7. 2. B조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8521165+1117
8341127+513
style="text-align:left;"|8314716-910
style="text-align:left;"|8233710-39
style="text-align:left;"|812548-45



 width="30"|width="30"|width="30"|width="30"|width="30"|
style="text-align:right;"|1-16-03-01-0
style="text-align:right;"|1-14-02-21-0
style="text-align:right;"|2-12-11-01-1
style="text-align:right;"|1-20-02-11-0
style="text-align:right;"|0-11-21-01-1



일본은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관계로 2번 슬롯에서 5번 슬롯으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3~5번 시드였던 이라크·요르단·오만은 2~4번 슬롯으로 조정되었다.

8.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5차 예선) 결과

(9-8 PSO)우즈베키스탄1-11-1
(연장전)



4차 예선 조 3위 팀(요르단우즈베키스탄)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AFC 참가팀을 결정하기 위해 서로 경기를 치렀다. AFC 예선 5라운드 추첨은 2013년 3월 19일 취리히에서 열렸다.[26] 경기는 2013년 9월 6일과 10일에 열렸다. 두 팀이 2차전 정규시간에 여전히 동점을 이루며 요르단은 결국 승부차기에서 9–8로 이겨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5차 예선

4차 예선 각 조 3위 팀 간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다. 2013년9월 6일9월 10일에 실시되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팀은 남미 예선 5위 팀과 대결하며, 이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월드컵에 출전한다.

9. 대륙간 플레이오프

5라운드 승자인 요르단은 남미 지역 예선의 5위 팀인 우루과이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이 플레이오프의 승자인 우루과이가 2014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차전은 2013년 11월 13일에, 2차전은 2013년 11월 20일에 치러졌다.[27]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요르단0 - 5우루과이0 - 50 - 0


10. 본선 진출팀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횟수[1]
이란4라운드 A조 우승팀2013년 6월 18일3 (1978년, 1998년, 2006년)
일본4라운드 B조 우승팀2013년 6월 4일4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대한민국4라운드 A조 준우승팀2013년 6월 18일8 (1954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오스트레일리아4라운드 B조 준우승팀2013년 6월 18일3 (1974년, 2006년, 2010년)



'''굵게''' 표시된 해는 우승국을 나타낸다. ''이탤릭체''는 개최국을 나타낸다.[1]

11. 논란 및 특이사항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란 및 특이사항이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Financial report presented & decisions taken on competition hosts & Brazil 2014 slots https://www.fifa.com[...] FIFA 2011-03-04
[2] 뉴스 Brasil pode ser dividido em quatro regiões para a Copa de 2014 http://globoesporte.[...] Globo Sporte 2010-07-08
[3] 뉴스 AFC 2014 FIFA World Cup qualifying format approved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0-05-02
[4] 웹사이트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0 http://images.the-af[...]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0-07-08
[5] 뉴스 2014 FWC Asian qualifiers after mid-2011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0-06-01
[6] 뉴스 2014 FWC Asian qualifiers format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0-08-13
[7] 웹사이트 2014 FIFA World Cup Brazil –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and Draw Procedures – Asian Zone https://www.fifa.com[...] FIFA
[8] 뉴스 FWCQ 2014 rankings announced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3-08
[9] 뉴스 Brunei suspended for government interference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2-17
[10] 뉴스 FIFA lift Brunei suspension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7-31
[11] 웹사이트 Asian Zone to play preliminary round for Brazil 2014 https://www.fifa.com[...] FIFA 2011-08-23
[12] 뉴스 U16, U19, Olym, WC q'fiers draw on Mar 30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3-02
[13] 뉴스 The battle for Brazil berth begins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3-31
[14] 웹사이트 Myanmar – Oman match abandoned http://www.the-afc.c[...] AFC 2012-03-01
[15] 웹사이트 Myanmar disciplinary sanctions confirmed https://www.fifa.com[...] FIFA 2012-03-01
[16] 웹사이트 Myanmar appeal partially upheld https://www.fifa.com[...] FIFA 2014-07-29
[17] 웹사이트 Syria disqualified from 2014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11-08-24
[18] 웹사이트 Tajikistan replaces Syria http://the-uff.com/i[...] 2012-03-29
[19] Fifa FIFA/Coca-Cola World Ranking – July 2011 (AFC) https://www.fifa.com[...]
[20] 웹사이트 Final Round draw date set http://www.the-afc.c[...] 2012-01-26
[21] 웹사이트 AFC announces key competition decisions http://www.the-afc.c[...] 2012-01-26
[22] 웹사이트 FIFA Ranking rescheduled to March 7 http://www.the-afc.c[...] 2012-02-03
[23] 웹사이트 Socceroos top seeds for Final Round draw http://www.the-afc.c[...] 2012-03-08
[24] 웹사이트 Who do you want in the Qantas Socceroos' FIFA World Cup draw? http://www.footballa[...] 2012-03-09
[25] 뉴스 43 in the fray for 2014 FWC qualifiers http://www.the-afc.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1-03-23
[26] 웹사이트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FIFA World Cup extends its responsibilities to cover 2018 and 2022 https://www.fifa.com[...] FIFA 2013-03-19
[27] 웹사이트 International Match Calendar 2013–2018 https://www.fifa.com[...] FIFA 2021-12-31
[28] 웹사이트 43 in the fray for 2014 FWC qualifiers http://www.the-afc.c[...] 2011-10-18
[29] 웹사이트 Asian Zone to play preliminary round for Brazil 2014 http://www.fifa.com/[...] 2011-03-25
[30] 웹사이트 FWCQ 2014 rankings announced http://www.the-afc.c[...] 2011-03-21
[31] 문서 2014 FIFA World Cup Brazil(TM) Preliminary Competition Format & Draw Procedures http://www.fifa.com/[...]
[32] 웹사이트 中国、「第1シード」で3次予選出場の可能性に大喜び―W杯 http://news.searchin[...] 2011-06-13
[33] 웹사이트 AFC announces key competition decisions http://www.the-afc.c[...] 2011-08-22
[34] 문서 シード国、3月のランクが基準=サッカーW杯最終予選-時事ドットコム2012.2.3付 http://www.jiji.com/[...]
[35] 웹사이트 FIFA Ranking rescheduled to March 7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連盟 2012-02-07
[36] 웹사이트 The battle for Brazil berth begins http://www.the-afc.c[...] 2011-03-30
[37] 웹사이트 Final Round draw date set http://www.the-afc.c[...] 아시아サッカー連盟 2012-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