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국가들의 예선 과정을 다룬다. 예선은 5개의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1차 예선은 하위 시드 팀들의 플레이오프, 2차 예선은 1차 예선 통과팀과 상위 시드팀을 제외한 팀들의 플레이오프, 3차 예선은 조별 예선, 최종 예선은 조별 예선,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구성되었다. 최종 예선에서 이란, 대한민국, 호주, 일본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요르단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으며, 이라크, 요르단, 대한민국 등을 포함한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2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진행된 대회로,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를 치러 각 조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 팀을 가렸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기간 | 2011년 6월 29일 - 2013년 11월 20일 |
참가 팀 수 | 43 |
축구 연맹 | 1 |
경기 수 | 148 |
득점 수 | 432 |
관중 수 | 3579388 |
최다 득점자 | 신지 오카자키(7골) |
이전 대회 | 2010 |
다음 대회 | 2018 |
2. 예선 방식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총 5개의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배정된 월드컵 본선 출전권은 4.5장으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했다.
- 1차 예선: FIFA 랭킹 하위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8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2차 예선: 1차 예선 통과 8개 팀과 FIFA 랭킹 상위 5개 팀을 제외한 22개 팀, 총 3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5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 3차 예선: 2차 예선 통과 15개 팀과 FIFA 랭킹 상위 5개 팀, 총 20개 팀이 4팀씩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4차 예선): 3차 예선 통과 10개 팀이 5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5차 예선)에 진출했다.
- AFC 플레이오프 (5차 예선): 최종 예선 각 조 3위 팀끼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본선 조 추첨은 2011년 7월 30일 브라질에서 진행되었다.[2] 초기에는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려 했으나, FIFA의 요청으로 2011년 중반 이후에 예선이 시작될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5] 최종 예선 방식은 2010년 방식과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2011년 3월에 확정되었다. 예선은 1, 2차 예선(홈 앤드 어웨이 방식)을 통해 본선 진출 팀 수를 20개로 줄였다. 이후 3차 예선(4팀 5개 조)을 거쳐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5팀 2개 조)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 각 조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대륙간 플레이오프 상대는 추첨을 통해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으로 결정되었다.[7]
단계 | 진행 방식 | 참가 대상 | 진출 기준 | 팀 수 | 합계(다음 예선참가팀 포함) |
---|---|---|---|---|---|
1차 예선 | 플레이오프 | 최하위 시드 16개 팀 (28번~43번 시드) | 플레이오프 승자 | 16 → 8 | 43 → 35(2차, 3차예선 자동진출팀 포함) |
2차 예선 | 플레이오프 | 1차 예선 통과 8개 팀, 최상위 시드 5개 팀을 제외한 나머지 22개 팀 | 플레이오프 승자 | 30 → 15 | 35 → 20(3차예선 자동진출팀 포함) |
3차 예선 | 조별 예선 (4팀×5조) | 2차 예선 통과 15개 팀, 최상위 시드 5개 팀 | 각 조 1위~2위 팀 | 20 → 10 | 왼쪽과 동일함 |
최종 예선 | 조별 예선 (5팀×2조) | 3차 예선 통과 10개 팀 전체 | 각 조 3위 팀 (각 조 1위~2위 팀은 본선 직행) | 10 → 4(직행) / 2(플레이오프) | 왼쪽과 동일함(각 조 1~2위 4개 팀은 본선 직행, 각 조 3위 2개 팀은 AFC 플레이오프 진출) |
AFC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각 조 최종 예선 3위 팀 | 플레이오프 승자 | 2 → 1 | 왼쪽과 동일함(AFC 플레이오프 승자는 남미 예선 5위 팀과 홈 앤드 어웨이로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실시, 승리할 경우 본선 진출 1 → 0.5) |
2. 1. 1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차 예선은 FIFA 랭킹이 낮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단계이다.[12][13]조 추첨은 2011년 3월 3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12][13] 경기는 2011년 6월 29일(1차전)과 7월 2일 및 3일(2차전)에 열렸다.
1차 예선에서 승리한 8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Malaysia|말레이시아ms | 4–4 (a) | 中華民國|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2–1 | 3–2 |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 | 3–0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3–0 | 0–0 |
កម្ពុជា|캄보디아km | 6–8 | ປະເທດລາວ|라오스lo | 4–2 | 2–6 (연장전) |
ශ්රී ලංකාව|스리랑카si | 1–5 | Pilipinas|필리핀tl | 1–1 | 0–4 |
افغانستان|아프가니스탄fa | 1–3 | فلسطين|팔레스타인ar | 0–2 | 1–1 |
Việt Nam|베트남vi | 13–1 | 澳門|마카오중국어 | 6–0 | 7–1 |
नेपाल|네팔ne | 7–1 | Timor-Leste|동티모르pt | 2–1 | 5–0 |
Монгол|몽골mn | 1–2 | မြန်မာ|미얀마my | 1–0 | 0–2 |
2. 2. 2차 예선
2차 예선은 1차 예선에서 승리한 8개 팀과 FIFA 랭킹 6위부터 27위까지의 22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승자는 3차 예선에 진출했다.[28] 출전 쿼터는 4.5개로, 4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2. 3. 3차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시드 순위 1위부터 5위까지의 팀(총 20개 팀)을 4팀씩 5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4차 예선)에 진출하였다.3차 예선 경기는 2011년 9월 2일, 9월 6일, 10월 11일, 11월 11일, 11월 15일 및 2012년 2월 29일에 실시되었다.
2. 4. 최종 예선 (4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4차 예선은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는 단계이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5차 예선(플레이오프)으로 진출한다.4차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20] 2012년 3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21] 10개 팀은 5개의 포트로 나뉘어 각 조에 한 팀씩 배정되었다.[24]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포트 5 |
---|---|---|---|---|
최종 예선 결과, 일본, 대한민국, 호주, 이란이 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 5.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5차 예선)
4차 예선 각 조 3위 팀은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경기는 2013년9월 6일과 9월 10일에 열렸다.[26]두 팀이 2차전 정규 시간까지 동점을 기록하면서, 요르단이 승부차기에서 9-8로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참가국 및 시드 배정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 팀 중 43개 팀이 참가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성적을 바탕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다.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던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와 AFC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했던 바레인은 최상위 시드로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
2차 예선까지는 이 시드가 활용되었으며, 3차 예선부터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를 새로 배정하여 대진 추첨을 하였다. 4차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으며, 2012년 3월 FIFA 랭킹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았다.[20][21]
브루나이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시드 순위 배정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자격 정지 처분이 해제된 뒤에 참가 신청을 했지만 기간이 지나 불참 처리되었다.[9] 부탄과 괌은 참가를 거부했다.[11]
3. 1. 3차 예선 자동 진출 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성적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 AFC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바레인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29][30]3. 2. 2차 예선 자동 진출 팀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 국가 중 43개 팀이 참가했다. 2차 예선 자동 진출팀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다.다음은 2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팀들의 목록이다.
순위 | 국가 |
---|---|
6 | 사우디아라비아 |
7 | 이란 |
8 | 카타르 |
9 | 우즈베키스탄 |
10 | 아랍에미리트 |
11 | 시리아 |
12 | 오만 |
13 | 요르단 |
14 | 이라크 |
15 | 싱가포르 |
16 | 중국 |
17 | 쿠웨이트 |
18 | 태국 |
19 | 투르크메니스탄 |
20 | 레바논 |
21 | 예멘 |
22 | 타지키스탄 |
23 | 홍콩 |
24 | 인도네시아 |
25 | 키르기스스탄 |
26 | 몰디브 |
27 | 인도 |
3. 3. 1차 예선 참가 팀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국 중 43개국이 참가했다. 1차 예선 참가 팀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28위부터 43위까지의 팀들이 1차 예선에 참가했다.[8]1차 예선 참가 팀 (28~43위) |
---|
브루나이는 2009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참가가 불가능했다.[9] 부탄과 괌은 201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지 않았다.[11]
4. 1차 예선 결과
2011년 3월 30일 쿠알라룸푸르에서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2011년 6월 29일과 7월 3일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1차 예선은 아시아 지역에서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 예선에서 승리한 팀은 2라운드에 진출했다.[4]
1차 예선에 참가한 팀들은 FIFA 랭킹에 따라 두 개의 포트로 나뉘어 시드 배정을 받았다. 포트 1에는 랭킹 28~35위 팀이, 포트 2에는 랭킹 36~43위 팀이 배정되었다.[4]
포트 1 | 포트 2 |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4-4 (a) | 2-1 | 2-3 | ||
3-0 | 3-0 | 0-0 | ||
6-8 | 4-2 | 2-6 (연장전) | ||
1-5 | 1-1 | 0-4 | ||
1-3 | 0-2 | 1-1 | ||
13-1 | 6-0 | 7-1 | ||
7-1 | 2-1 | 5-0 | ||
1-2 | 1-0 | 0-2 |
5. 2차 예선 결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을 통과한 8개 팀과 FIFA 랭킹 6위부터 27위까지의 22개 팀, 총 3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15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2011년 7월 23일과 7월 28일에 실시되었다.[36]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 | 3-2 | فلسطين|팔레스타인ar | 1-0 | 2-2 |
لبنان|레바논ar | 4-2 |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 | 4-0 | 0-2 |
中国|중국중국어 | 13-3 | ປະເທດລາວ|라오스lo | 7-2 | 6-1 |
Türkmenistan|투르크메니스탄tk | 4-5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1-1 | 3-4 |
الكويت|쿠웨이트ar | 5-1 | Pilipinas|필리핀tl | 3-0 | 2-1 |
عمان|오만ar | 5-0 | မြန်မာ|미얀마my | 3-01 | 2-01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8-0 | 香港|홍콩중국어 | 3-0 | 5-0 |
ایران|이란fa | 5-0 | ދިވެހިރާއްޖެ|몰디브디베히어 | 4-0 | 1-0 |
سوريا|시리아ar | (0-6)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0-3)2 | (0-3)2 |
قطر|카타르ar | 4-2 | Việt Nam|베트남vi | 3-0 | 1-2 |
العراق|이라크ar | 2-0 | اليمن|예멘ar | 2-0 | 0-0 |
新加坡|싱가포르중국어 | 6-4 | Malaysia|말레이시아ms | 5-3 | 1-1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7-0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4-0 | 3-0 |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 | 5-2 | भारत|인도hi | 3-0 | 2-2 |
الأردن|요르단ar | 10-1 | नेपाल|네팔ne | 9-0 | 1-1 |
6. 3차 예선 결과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순위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
---|---|---|---|---|---|---|
1위 | ||||||
2위 | ||||||
3위 | ||||||
4위 |
각 조 1, 2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는 2011년 9월 2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6. 1. A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6. 2. B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6. 3. C조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C조에서는 우즈베키스탄과 일본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타지키스탄은 탈락하였다.
순위 | C조 |
---|---|
1위 | |
2위 | |
3위 | |
4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6 | 5 | 1 | 0 | 8 | 1 | +7 | 16 | |
6 | 3 | 1 | 2 | 14 | 3 | +11 | 10 | |
align="left"| | 6 | 2 | 1 | 3 | 3 | 4 | -1 | 7 |
align="left"| | 6 | 0 | 1 | 5 | 1 | 18 | -17 | 1 |
width="30"| | width="30"| | width="30"| | width="30"| | |
---|---|---|---|---|
style="text-align:right;"| | – | 1-1 | 1-0 | 3-0 |
style="text-align:right;"| | 0-1 | – | 1-0 | 8-0 |
style="text-align:right;"| | 0-1 | 1-0 | – | 1-1 |
style="text-align:right;"| | 0-1 | 0-4 | 1-1 | – |
6. 4. D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과 아시아 3차 예선에 자동 진출한 최상위 시드 5개 팀, 총 20개 팀이 4개 조로 편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 경기를 치러 각 조 1, 2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D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오만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태국은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6. 5. E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E조에서는 이란과 카타르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바레인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3, 4위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7. 최종 예선 (4차 예선) 결과
4라운드는 3라운드에서 각 조 1위와 2위로 올라온 팀들이 두 개의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5라운드(플레이오프)로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최종 예선 결과 일본, 대한민국, 호주, 이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7]
경기는 2012년 6월 3일부터 2013년 6월 18일까지 진행되었다.[7]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일정이 겹치면서, AFC는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일본의 경기 일정을 조정하여 2013년 6월 18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도록 조별 5위에 배치하였다.[25]
조 추첨은 2012년 3월 9일에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37]
색상 기준 | |
---|---|
style="background:#cfc; width:30px;"| |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 |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
최종 예선 조 편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7. 1. A조
색상 기준 | |
---|---|
style="background:#cfc; width:30px;"| |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 |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
{|
|-
|
|
|}
7. 2. B조
색상 기준 | |
---|---|
style="background:#cfc; width:30px;"| |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
style="background:#ffffcc; width:30px;"| |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8 | 5 | 2 | 1 | 16 | 5 | +11 | 17 | |
8 | 3 | 4 | 1 | 12 | 7 | +5 | 13 | |
style="text-align:left;"| | 8 | 3 | 1 | 4 | 7 | 16 | -9 | 10 |
style="text-align:left;"| | 8 | 2 | 3 | 3 | 7 | 10 | -3 | 9 |
style="text-align:left;"| | 8 | 1 | 2 | 5 | 4 | 8 | -4 | 5 |
width="30"| | width="30"| | width="30"| | width="30"| | width="30"| | |
---|---|---|---|---|---|
style="text-align:right;"| | – | 1-1 | 6-0 | 3-0 | 1-0 |
style="text-align:right;"| | 1-1 | – | 4-0 | 2-2 | 1-0 |
style="text-align:right;"| | 2-1 | 2-1 | – | 1-0 | 1-1 |
style="text-align:right;"| | 1-2 | 0-0 | 2-1 | – | 1-0 |
style="text-align:right;"| | 0-1 | 1-2 | 1-0 | 1-1 | – |
일본은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는 관계로 2번 슬롯에서 5번 슬롯으로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3~5번 시드였던 이라크·요르단·오만은 2~4번 슬롯으로 조정되었다.
8.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5차 예선) 결과
(9-8 PSO)
(연장전)